로그인 해주세요.
본문 바로가기
화가 오세열 누구의 스케치북일까요?

오세열 작가는 1945년 서울에서 태어나 서라벌예술대학과 중앙대학교에서 수학했다. 부산시립미술관, 대전시립미술관, 국립현대미술관, 학고재 상하이 등에서 다수의 개인전 및 그룹전을 가졌다.국립현대미술관(과천), 대전시립미술관, 프레데릭 R. 와이즈만 예술재단(미국 로스앤젤레스) 등 국내외 주요 미술 기관에서 작품을 소장하고 있다.


오후 3시, 가로로 길게 낸 창으로 들어오는 햇살이 마룻바닥에 사다리꼴 모양을 그린다. 흰 벽과 고요를 깨뜨리는 새소리뿐. 작가의 작업실이라기 보다는 작은 미술관 같다. “이젤은 치웁시다. 화가의 작업실에 왔는데 이 젤을 앞에 놓고 촬영하는 건 너무 식상하지 않아요?” 지금의 양평 작업실 로 옮긴 지 2년째. 건축과 조경 분야에 조예가 깊은 오세열 작가의 개인 후원자가 오직 그만을 위해 완성한 작업실이다. “언제나 집과 작업실은 따 로 둬요. 작가에게는 긴장감이 있어야지. 긴장과 집중, 그거 빼면 작업 못 하지요. 어쩌다 파리 한 마리 들어오면 그날은 작업하기 힘들어요.” 오세열 작가가 지난 2008년 샘터화랑에서 개최한 개인전 이후 9년 만에 학고재 갤러리에서 여는 개인전 <오세열: 암시적 기호학OH SE-YEOL: Semiotic Metaphors>은 1960년대부터 현재까지 연대별로 추린 그의 작 품 50여 점을 선보인다.

작가의 최근작엔 유난히 숫자가 눈에 많이 띈다. “바닷가에서 피란 생활을 하던 유년 시절, 몽당연필에 침 묻혀가며 종이에 숫자를 쓰고 낙서를 하 던 기억이 떠올라 숫자 작업을 하게 됐어요. 숫자라는 것은 사람의 인생에 빠질 수 없는 것이기도 하고, 또 어린아이가 글자보다 먼저 배우고 스스로 ‘그리는’ 첫 번째 기호이기도 하지요.” 숫자로 빼곡히 채워진 화면 중간중간 낯익은 오브제는 작가가 길가에 버려진 폐품을 모아 콜라주 형식으로 작 업한 것이다. “찌그러진 병뚜껑, 단추, 몽당 색연필 등은 일상을 채우는 사 소한 소품임과 동시에 유년 시절을 떠올리게 하는 오브제이지요.” 작가의 작업실 책상엔 크기와 모양이 다른 색색깔 단추와 손톱만큼 작고 매끄러 운 돌들, 오래된 카세트테이프, 다 쓴 물감과 종이 박스 등이 정돈되지 않 은 채 자유롭게 놓여 있다. 고정관념, 틀에 박힌 것이라면 질색하는 그의 자유분방한 성향이 그대로 묻어난다. “무언가를 정의한다는 건 작가로서 위험한 거예요. 관념화된다는 증거지요. 그래서 제 작품엔 제목도 없어요. 관객이 전시를 볼 때 자기도 모르게 제목부터 봐요. 그러면 작가의 의도와 점점 멀어지고, 순수한 의미로서 감상이 어렵죠. 그래서 액자도 따로 하지 않아요. 첫눈에 본 모습 그대로, 벌거벗은 채의 작품을 봐주기를 바라는거죠.” 2013년 작품인 표지작 ‘untitled’ 역시 제목이 없다. 작가는 사각지 대에서 꿈을 키우지 못하는 아이들, 장애가 있는 아이들 등 세상에서 소 외된 아이들 모습을 그려왔다. 푸른 초원에 누워 쉬고 있는 아이가 어디선 가 날아온 새 한 마리를 응시하는 이 작품은 서로 친구가 없는 두 존재가 소통하며 고독을 나누는 모습을 담았다.

‘무제’, 혼합 매체, 97×130cm, 2017
오세열 작가 작품의 가장 큰 특징은 단색 혹은 두 가지 색으로 구성한 화 면 아래 실은 무수한 색이 중첩되어 있다는 것이다. 그는 캔버스 위에 적어 도 일고여덟 번 색을 덧칠해 화면을 완성한다. 화면의 밀도와 깊이를 살리 기 위함이다. 밑칠을 수차례, 그 위엔 붓이 아닌 면도칼이나 나이프로 일일 이 긁어 숫자나 문자, 문양을 만들어내다 보니 오세열 작가가 하나의 작 품을 완성하기까지는 꽤 긴 시간이 걸린다. 그림이 생각보다 너무 빨리 완 성되면 오히려 불안하다는 작가는 자신이 만족하는 ‘뒷맛’이 날 때까지 작 업을 멈추지 않는다. “나는 캔버스를 하나의 ‘몸’으로 생각해요. 그림은 곧 나지요. 붓이 아닌 나이프를 이용해 밑 작업한 캔버스 위에 질감을 만드는 행위는 내 몸에 상처를 내는 행위와도 같아요. 인생에 즐거움만 있는 건 아니거든. 농부가 밭을 갈 듯, ‘노동의 맛’을 추구하는 거지요. 요즘 젊은 이들의 취향과는 잘 맞지 않을지도 모르겠어요. 산뜻하고 예쁜 그림을 찾 으니까. 제 그림은 겉절이가 아니라 묵은지 같은 겁니다.”

오세열 작가는 선생님의 칭찬을 받으며 화가의 꿈을 키우던 초등학생 시 절부터 지금까지, 단 한 번도 옆길로 새지 않고 그림을 그려왔다. 주변 60~70대 원로 작가들이 지금까지 해온 작품에 안주하는 경향이 없지 않은데, 건강이 허락하는 한 작가로서 끊임없이 새로운 시도를 하고 싶은 것 이 그의 바람. 2015년과 2016년에 파리, 런던, 벨기에, 상하이 등에서 개인 전을 개최한 그는 오는 5월 강화도 해든미술관에서 개인전을, 11월엔 학고 재 갤러리에서 인물화만 가지고 또 한 차례 개인전을 열고, 내년과 후년 즈 음에는 미국에서 개인전을 개최할 예정이다. “많은 작가가 처음 구상한 대로 작품을 완성하지만, 내게는 처음의 구상 이 아무 쓸모가 없습니다. 지금 작업 중인 저 그림 보이죠? 결국 어떻게 끝 날지 나도 몰라요. 그래서 스스로도 늘 흥미를 잃지 않고 작업에 임할 수 있는 것 같아요.” 마음 가는 대로, 손 가는 대로 어린아이가 스케치북을 쓱쓱 메워나가듯 일흔이 넘은 작가는 그렇게 시종일관 즐거운 마음으로 작업에 임하고 있다. 인터뷰 중간중간 그의 오른쪽 손바닥에 묻은 노란색 물감이 눈에 들어왔다. 채 마르지 않아 그가 손을 맞잡거나 뗄 때마다 다 른 손가락의 마디마디에 묻어났다. 관념적인 것과 의식적인 것에서 멀어져 무의식적인 것, 본능적인 것과 가까워지는 것, 그렇게 순수의 세계로 주저 없이 빠져드는 것이야말로 평생 그림만을 생각하고 꿈꾸며 그려온 오세열 작가의 힘이 아닐까?



 

글 유주희 기자 사진 이우경 기자
디자인하우스 (행복이가득한집 2017년 4월호) ⓒdesign.co.kr, ⓒdesignhouse.co.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